분류 전체보기 8

ORA-20002 Message 20002 not found; product = RDBMS; facility=ORA 윈도우 서버 세팅 시 오라클 DB 사용자 정의 에러 메시지 출력 오류

원인 .NET Windows 서버와 oracle DB를 사용할 경우 마주치는 에러메시지이다. .net framework 기반의 윈도우 서버를 사용하는 시스템과 oracle db의 분산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oramts(Oracle Services For Microsoft Transaction Server) 를 Oracle client 설치시 추가로 설치하게 되는데 해달 모듈에서 12c client(웹서버의 오라클 클라이언트) 이상버전부터 20000~29999 의 사용자 정의 에러에 대한 에러메시지 출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제목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띄운다. 일반적으로 pl-sql을 많이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프로시저나 function에 해놓은 예외처리에서 해당 메시지를 보게 될 것이다. 해결책 ORAMTS..

MS-SQL 트랜잭션 로그파일(LDF) 줄이기

MS-SQL 사용 시 트랜잭션 로그가 쌓이는 LDF 파일이 한없이 쌓여서 디스크를 가득 채우게 된다. 트랜잭션로그를 한없이 쌓을 수 없으므로 트랜잭션 로그 백업 후 트랜잭션을 정리하여야 하는데 트랜잭션 로그 정리작업은 아래의 쿼리로 진행 할 수 있다. 풀백업과 묶어서 트랜잭션 로그 정리를 함께 수행한다면 트랜잭션 로그로 인해 디스크용량이 꽉차는 불상사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USE DATABASE_NAME -- DB 이름을 넣어주세요 ------------------------------------------------------------------------------ -- 아래쪽은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 ----------------------------------------------------..

사회초년생 재테크 무조건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다.

사회초년생이나 모은 재산이 없는 사람이 종잣돈을 모을때 제일 좋은 방법은 저축이다. 내가 말하는 저축은 은행에 하는 예금적금이 아니고 말그대로 번 돈 - 쓴돈 을 의미한다. 지난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저축은 돈을 덧셈으로 모으는 방식이고 재테크는 모아진 자산을 곱셉으로 불리는 방식이다. 모은돈이 별로 없을땐 자산에 수익률을 아무리 올려봣자 벌 수 있는 돈이 별로 없다. 월급을 10만원이라도 올리고 지출을 10만원이라도 줄이는게 재테크로 돈을 굴리는거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돈이 모이는 시기이다. 그래서 모은 돈이 없을수록 저축을 열심히 해야하고 모은 돈이 많을수록 재테크에 더 집중해야한다. 그렇다면 모은돈이 없을 땐 저축만 열심히하면 되는거 아닌가? 왜 재테크를 일찍 시작 해야될까? 재테크는 자산 * 수익률로..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원리

1. 연결재무제표란? 연결재무제표란 두개 이상의 회사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연결실체 라고 표현한다)로 보아 한 회사가 된 관점으로 작성된 재무제표를 의미한다. 결혼한 부부가 결혼전에는 서로 따로 돈관리를 하지만 결혼후에는 함께 돈관리를하며 가계부를 써나가는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 2. 연결대상 법인 그럼 어떤 회사들을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보는지는 다른 책에도 많이 나와있고 케이스마다 다르기 때문에 간략하게 다룬다. 일반적으로 A(지배회사)라는 회사가 B(종속회사) 회사 지분의 50% 이상을 보유하게 되면 B의 경영을 좌지우지할수 있게 되기 때문에(모든 경우에 그런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이 때 A 와 B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보고 재무제표를 작성하게 된다. 3. 연결이 복잡한 이유 A가 ..

회계/연결회계 2021.03.16

합병회계처리의 원리

합병은 두개 이상의 독립적인 법인이 합쳐져 하나의 법인이 되는 행위이다. 일반적으로 A(인수자)와 B(피인수자)가 있고 A가 B를 사들이는 형태(취득법)로 회계처리 된다. 1. A는 B의 모든 자산과 부채를 공정가치(현재가치)로 인수하게 되며 2. B(피인수자)가 재무제표상 반영하지 않은 무형자산 가치를 숫자로 평가하여 무형자산으로 인수한다. (상표권, 피인수회사의 기술가치 , 고객 관련 가치 등) 1 에서 공정가치를 평가하고 2의 재무제표상 존재하지 않는 무형자산을 평가하는 과정을 PPA(Purchase Price Allocation) 라고 한다. 어려운 말인데 한마디로 요약하면 적정인수가격을 매기는 행위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합병의 회계처리는 일단 PPA 작업을 끝내고난 자산과 부채로 처리를 하..

회계/연결회계 2021.03.15

재테크란 무엇이고 왜 해야 하는가

재테크의 사전적 정의는 보유한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재산을 불리는 행위이다. 쉽게 말하면 가지고 있는 자산을 굴려서 돈 버는 행위이다. 부자가 되기 위해선 재테크가 필수다. 당신이 월급쟁이라면 재테크 말고는 방법이 없다. 우리가 돈을 버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1. 노동을 해서 돈을 번다. (직장인 , 자영업자) 2. 자산을 굴려서 돈을 번다. (투자자) 3. 시스템을 구축한다. (사업가) 부자가 되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1번으로 시작해서 1번으로 끝난다. 왜 노동수익만 가지고 살다보면 경제적 문제를 겪게 되는지 알아보자. 투자자가 되지 않은 노동자의 자산 형성 공식은 다음과 같다. 자산 = 과거의 자산 + 노동수익 - 각종 비용 A라는 사람은 취직한지 얼마되지 않아 가진 돈이 현금 1..

사업결합이란?

사업결합이란 한마디로 요약하면 흔히 이야기하는 M&A(인수 합병)를 뜻한다. 인수와 합병에는 차이가 있는데 합병은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회사가 하나로 합쳐지는것을 의미한다 A(인수자) + B(피인수자) = A 가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를 흡수합병이라고 한다. 흡수합병 이후 B는 소멸하고 A로 합쳐진다 두개의 회사가 합쳐져 하나의 회사가 된다. A(인수자) + B(피인수자) = C(신규법인)가 되는 경우를 신설합병이라 하는데 흡수합병과 신설합병은 회계처리에 있어선 실질적인 차이가 없을 뿐더러 신설합병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앞으로 흡수합병의 케이스로 설명하도록 한다. 합병을 하게 되면 인수자는 피인수자에게 인수대가를 주게 된다. 인수 대가는 돈으로 주거나 A(인수자) 의 주식을 추가발행하여 ..

회계/연결회계 2021.03.11

Prolog

앞으로 연결회계에 관한 글을 써나가려고 한다. 이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본인의 직업은 회계사가 아닌 컴퓨터를 전공한 프로그래머임을 밝힌다. 현재 회사에 입사하여 연결회계 시스템을 개발하고 고객사들에 도입해주는걸 직업으로 9년동안 해왔다. 시스템을 개발하고 여러회사에 도입하면서 연결회계 업무를 담당하는 많은 사람들(회계팀, 회계사분들, 관련 IT부서)을 만났고 어딜가나 느끼는점은 연결회계에 대해 잘 이해하는 사람이 그렇게 많지 않다는거였다. 이유를 찾아보자면 책에 나오는 말들은 너무 어렵고 실무에서는 책에서 커버하지 못하는 케이스들이 많다. 이게 글을 써나가는 가장 큰 이유다. 연결재무제표의 작성원리를 최대한 심플하게 쉽게 풀어써보려 한다. 기본적인 회계 공부를 한 사람들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수 있는 연결..

회계/연결회계 2021.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