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2

사회초년생 재테크 무조건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다.

사회초년생이나 모은 재산이 없는 사람이 종잣돈을 모을때 제일 좋은 방법은 저축이다. 내가 말하는 저축은 은행에 하는 예금적금이 아니고 말그대로 번 돈 - 쓴돈 을 의미한다. 지난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저축은 돈을 덧셈으로 모으는 방식이고 재테크는 모아진 자산을 곱셉으로 불리는 방식이다. 모은돈이 별로 없을땐 자산에 수익률을 아무리 올려봣자 벌 수 있는 돈이 별로 없다. 월급을 10만원이라도 올리고 지출을 10만원이라도 줄이는게 재테크로 돈을 굴리는거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돈이 모이는 시기이다. 그래서 모은 돈이 없을수록 저축을 열심히 해야하고 모은 돈이 많을수록 재테크에 더 집중해야한다. 그렇다면 모은돈이 없을 땐 저축만 열심히하면 되는거 아닌가? 왜 재테크를 일찍 시작 해야될까? 재테크는 자산 * 수익률로..

재테크란 무엇이고 왜 해야 하는가

재테크의 사전적 정의는 보유한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재산을 불리는 행위이다. 쉽게 말하면 가지고 있는 자산을 굴려서 돈 버는 행위이다. 부자가 되기 위해선 재테크가 필수다. 당신이 월급쟁이라면 재테크 말고는 방법이 없다. 우리가 돈을 버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1. 노동을 해서 돈을 번다. (직장인 , 자영업자) 2. 자산을 굴려서 돈을 번다. (투자자) 3. 시스템을 구축한다. (사업가) 부자가 되지 못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1번으로 시작해서 1번으로 끝난다. 왜 노동수익만 가지고 살다보면 경제적 문제를 겪게 되는지 알아보자. 투자자가 되지 않은 노동자의 자산 형성 공식은 다음과 같다. 자산 = 과거의 자산 + 노동수익 - 각종 비용 A라는 사람은 취직한지 얼마되지 않아 가진 돈이 현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