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결재무제표란?
연결재무제표란 두개 이상의 회사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연결실체 라고 표현한다)로 보아 한 회사가 된 관점으로 작성된 재무제표를 의미한다.
결혼한 부부가 결혼전에는 서로 따로 돈관리를 하지만 결혼후에는 함께 돈관리를하며 가계부를 써나가는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
2. 연결대상 법인
그럼 어떤 회사들을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보는지는 다른 책에도 많이 나와있고 케이스마다 다르기 때문에 간략하게 다룬다. 일반적으로 A(지배회사)라는 회사가 B(종속회사) 회사 지분의 50% 이상을 보유하게 되면 B의 경영을 좌지우지할수 있게 되기 때문에(모든 경우에 그런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이 때 A 와 B를 하나의 경제적 실체로 보고 재무제표를 작성하게 된다.
3. 연결이 복잡한 이유
A가 B의 지분을 취득하여 지배력을 획득하게 되는 시점에 합병과 같은 사업결합의 회계처리를 하게 된다
합병이 연결보다 간단한 이유는 합병은 합병 이후에는 한 회사가 되어 회계처리를 하기 때문에 최초 사업결합시의 회계처리만 신경쓰면 된다.
그러나 연결은 그 회사의 지분을 100% 취득하는것이 아니고(비지배 지분의 발생) 사업결합이 일어난 후에도
각각의 회사가 별도로 존재하여 각각 회계처리를 해 나간다. 그로 인해 가상으로 하나의 회사의 재무제표로 합칠때 지속적으로 추가적인 조정분개를 만들어줘야하기에 연결회계가 복잡해지는 것이다.
4. 합병과 연결의 차이
합병은 최초 사업결합시
A + B = (A합병법인) 의 회계 처리가 이루어지고
그 이 후 A와 B 모두 A합병법인으로 회계처리가 이루어지기에 최초 사업결합이후로 추가 발생할 회계처리가 없다.
그러나 연결은 최초 사업결합시
A + B = (A연결실체) 가 되는 회계처리가 이루어지고
그 이후 각각 A는 A대로 B는 B대로 회계처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한회사였다면 발생하지 않았거나 다르게 발생했을 회계처리에 대한 조정을 지속적으로 하게된다.
5.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원리
그럼 각각 별도로 존재하는 A와 B의 재무제표가 어떻게 A연결실체 라는 가상의 회사의 재무제표가 작성되는지 알아보겠다.
시산표라는 것은 지금까지 처리된 회계처리가 모두 반영된 잔액이다.
A와 B의 시산표 잔액을 더해서 별도합산시산표를 만든다. 두 회사의 모든 회계처리가 더해진 셈이다.
이후 한 회사 였다면 발생하지 않았거나 다르게 발생하게 되었을 회계처리를
연결조정 분개를 통해 조정하여 연결재무제표를 만들어 하나의 회사였다면이라는 가정의 재무제표가 완성되는것이다.
A + B + 연결조정 = 연결재무제표
가 되는것이다.
6. 연결조정의 항목
1. 투자회사의 주식과 종속회사의 자본을 상계하는 투자자본 상계 분개
2. 연결 범위 내의 회사들의 내부거래 제거
3. 내부거래로 발생한 미실현손익의 제거
4. 종속회사에게 받은 배당수익의 제거
5. 연결조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시적차이에 대한 이연법인세 정도로 나눌 수 있다.
시산표를 합산하는 과정은 그렇게 어려운 과정은 아니다.
연결재무제표를 만드는 핵심은 연결조정 분개를 만들고 그에 대한 히스토리를 잘 관리하는 것이다.
앞으로 연결재무제표과 만들어지는 과정을 디테일하게 다루어 볼 예정이다.
'회계 > 연결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병회계처리의 원리 (0) | 2021.03.15 |
---|---|
사업결합이란? (0) | 2021.03.11 |
Prolog (0) | 2021.03.04 |